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포천 독립운동 유적지 탐방, 조영원 선생의 발자취 따라가기

by fullmoonnory 2025. 10. 11.
반응형

조영원 선생 공적비 안내 이미지

 

 

경기도 포천은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독립운동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도시다. 이곳에는 수많은 무명의 독립운동가들이 나라의 자유를 위해 헌신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그중에서도 조영원(趙永源) 선생 공적비는 포천 지역의 항일운동사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유적 중 하나로, 일제강점기 억압 속에서도 굴하지 않았던 한 인물의 숭고한 정신을 기린다. 이 글에서는 조영원 선생의 생애와 공적, 공적비 건립의 역사적 배경, 그리고 오늘날 이 유적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며, 포천이라는 지역이 품은 독립정신의 깊이를 조명한다.

항일운동의 현장, 조영원 선생의 생애와 포천의 독립정신

조영원 선생은 일제강점기 포천 출신으로, 나라의 주권을 잃은 민족의 현실에 분노하며 청년 시절부터 항일운동에 참여했다. 포천 지역은 지리적으로 교통의 요지이자, 농민과 상인들이 모이는 중심지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독립사상이 확산된 곳이었다. 조영원 선생은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비밀결사 활동과 독립운동 자금 모금에 힘썼다.

19193·1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을 때, 포천에서도 대규모 만세시위가 벌어졌다. 조영원 선생은 그 중심에서 포천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하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당시 일제 경찰은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진압했고, 선생 역시 체포되어 수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그러나 그는 감옥에서도 굴하지 않고, 동지들에게 나라를 위해 고난을 감수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며 독립의지를 불태웠다고 전해진다.

출옥 이후에도 선생은 독립운동의 열기를 식히지 않았다. 신간회 활동을 비롯해 농민조합운동, 의식계몽운동 등에 참여하며 민중의 자각을 이끌었다. 또한 마을에 야학을 세워 아이들에게 한글과 역사 교육을 실시했고,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민족정신을 이어가는 교육운동가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조영원 선생의 생애는 화려하지 않지만, 그의 행동 하나하나가 포천의 독립운동사를 이어가는 실질적인 힘이었다. 이름 없이 싸운 수많은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그는 포천의 숨은 영웅으로 남아 있으며, 그를 기리는 공적비는 그 시절의 고난과 의지를 오늘날에 전하는 귀중한 증거다.

조영원 선생 공적비의 건립 배경과 역사적 상징성

조영원 선생 공적비는 포천 시민과 지역 유림, 그리고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뜻이 모여 세워졌다. 공적비 건립 운동은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지역사회의 자발적인 참여로 결실을 맺었다. 당시 산업화와 도시개발로 인해 지역의 전통과 역사가 점차 잊혀가던 시기였다. 그때 포천 시민들은 우리의 뿌리를 기억하지 못하면 미래를 논할 수 없다는 인식 아래 조영원 선생의 공훈을 기리는 비석 건립을 추진했다.

공적비는 포천시 일대의 평화로운 들녘을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소규모의 독립유적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비문에는 목숨을 버려 나라를 구하고, 이름을 남기지 않아도 그 뜻은 빛나리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이는 조영원 선생의 삶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다.

공적비의 건립은 단순히 한 인물을 기리는 행위가 아니라, 지역민이 스스로 자신의 역사를 복원한 과정이었다. 당시 포천문화원과 시민단체는 오랜 구전 자료를 수집하고, 선생의 생애를 증언할 수 있는 후손과 마을 어르신들을 인터뷰했다. 그 결과, 조영원 선생이 남긴 독립운동의 흔적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었고, 포천 독립운동사의 한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 공적비는 포천의 대표적인 항일유적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매년 광복절과 순국선열의 날에는 헌화식과 추모행사가 열린다. 학생들과 시민단체가 이곳을 찾아 독립정신을 되새기고 있으며, 포천시에서는 독립운동가 발자취길코스에 포함시켜 역사교육의 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오늘날의 포천에서 되살아나는 조영원 선생의 정신

시간이 흘러 100여 년이 지난 지금, 조영원 선생 공적비는 단순한 추모의 장소를 넘어 **‘살아 있는 역사교육의 현장’**이 되고 있다. 포천시는 매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역사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학생들이 직접 공적비를 찾아 선생의 삶과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배우고 있다.

공적비 앞에 서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묵직한 울림이 있다. 작은 비석이지만, 그 앞에는 수많은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 함께 서려 있다. 조영원 선생이 보여준 용기와 헌신은 지금의 자유와 평화가 결코 공짜가 아니었음을 상기시킨다.

또한 포천 시민사회에서는 조영원 선생의 뜻을 잇기 위한 다양한 문화행사와 강연회를 열고 있다. 지역 문화원은 포천의 독립운동가를 찾아서라는 연례 강좌를 운영하며, 시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이어간다. 이러한 움직임은 과거의 영웅을 단순히 기념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의 시민의식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포천 독립운동 AR탐방 프로젝트도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공적비를 비추면, 조영원 선생의 생애와 활동이 영상으로 재현되어 관람객이 생생하게 그 역사를 체험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유적지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확장하는 시도이자, 세대 간 기억을 잇는 새로운 방식이다.

이처럼 조영원 선생 공적비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앞에 선 사람이라면 누구나 조용히 고개를 숙이게 되고, 마음속에서 조국을 사랑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결론]

조영원 선생 공적비는 포천의 독립정신을 상징하는 기억의 돌기둥이다.

그 비석 앞에 서면, 단순히 한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라 수많은 이름 없는 이들의 희생이 함께 떠오른다.

그들이 지킨 조국은 오늘의 우리에게 평화와 자유로 이어졌고, 그 정신은 지금도 포천 곳곳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

공적비는 말없이 서 있지만, 그 안에는 조국은 결코 잊지 않는다는 강한 메시지가 새겨져 있다.

우리의 후손들이 이 자리를 기억하고, 조영원 선생의 뜻을 이어간다면 포천은 언제나 독립정신의 도시로 남을 것이다.

반응형